본문 바로가기

인과추론

반사실 상황(Counterfactual Situation)과 인과추론의 근본 문제(The Fundamental Problem of Causal Inference)

728x90

반사실 상황(Counterfactual Situation)과 인과추론의 근본 문제는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두 가지는 인과관계 연구의 핵심 과제입니다.

반사실 상황(Counterfactuals)

반사실 상황이란, 현실에서 일어난 사건의 대안적인 시나리오를 상상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만약 A가 일어나지 않았다면, B는 어떻게 되었을까?"와 같은 가상의 상황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인과관계 연구에서 반사실 상황은 특정 처치나 사건이 없었을 때의 결과를 상상함으로써 그 처치나 사건이 실제로 결과에 미친 영향을 추론하는 데 사용됩니다.

인과추론의 근본 문제(The Fundamental Problem of Causal Inference)

인과추론의 근본 문제는 우리가 동시에 두 가지 상태(처치를 받은 상태와 받지 않은 상태)를 관찰할 수 없다는 것에 기반합니다. 즉, 같은 개체에 대해 처치가 적용되었을 때와 적용되지 않았을 때의 결과를 동시에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인과추론은 대체로 추정과 가정에 의존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약이 특정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지 알고 싶다고 가정해봅시다. 여기서 약을 복용하는 것이 처치이고, 질병의 개선 여부가 결과입니다. 반사실 상황을 고려하면, 같은 환자가 약을 복용했을 때와 복용하지 않았을 때의 건강 상태를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한 환자에게 동시에 두 상태를 관찰할 수 없으므로, 인과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통계적 방법, 실험 설계(예: 무작위 대조 실험), 관찰 연구 방법론 등을 사용하여 인과관계의 추정치를 얻습니다. 예를 들어, 무작위 대조 실험은 실험 그룹과 대조 그룹을 무작위로 할당함으로써 처치의 효과를 추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구자는 반사실 상황을 통한 인과관계의 추정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인과추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별처치효과(Individual Treatment Effect, ITE)  (0) 2024.03.19
do(.) 연산자  (0) 2024.03.18
개입(Intervention)  (0) 2024.03.18
인과추론의 용어들  (0) 2024.03.18
인과추론이란  (0) 2024.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