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 기본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피어만 상관계수(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의 이해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1904년 영국의 심리학자 찰스 스피어만(Charles Spearman)이 고안한 비모수적(non-parametric) 상관계수다. 이는 데이터의 실제값 대신 순위(rank)를 기반으로 변수 간의 단조적(monotonic) 관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통계학과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찰스 스피어만은 인간의 지능을 연구하며, 사람들의 능력 수준이 절대적인 점수보다 순위로 평가될 때 더욱 안정적이고 정확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예컨대, 여러 과목에서 얻은 점수 자체보다는 학생들이 해당 과목 내에서 차지하는 순위가 지능과의 관계를 더 일관성 있게 나타낼 수 있었다. 특히 순위 기반 접근 방식은 정규성(normality) 가정이 불필요하고, 극단값(outlier)에 덜 민감해 .. 이전 1 다음